'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09건

  1. 2011.05.16 1,000 4
  2. 2011.05.16 2011 대한민국 별축제 2
  3. 2011.05.15 혜성처럼
  4. 2011.05.13 내려도 될까? 2
  5. 2011.05.13 Big Bang 이후
  6. 2011.05.13 받아들여진다는 것 2
  7. 2011.05.11 하늘이시여
  8. 2010.12.08 How to catch a star 2
  9. 2010.12.08 Papa, Please get the moon for me
  10. 2010.12.02 Meteor shower of Ilsan, Korea 2

1,000

별표 원고지 2011. 5. 16. 17:06
2011년 5월 16일 17시, 누적 방문자 수가 1,000명이 되었다. 
상당수는 필자의 접속이었을 미미한 성적이지만, 그래도 기쁘다. 사진가 Alfred Stieglitz의 말을 인용하며 앞날을 다짐한다.  


                                    촛점이 맞지 않은 한 장의 사진은 실수이고,
                                    촛점이 맞지 않은 열 장의 사진은 실험이며,
                                    촛점이 맞지 않은 백 장의 사진은 스타일이다.  




'별표 원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498 >111209  (0) 2011.07.07
구름을 피하는 법  (2) 2011.06.27
2011 대한민국 별축제  (2) 2011.05.16
받아들여진다는 것  (2) 2011.05.13
지오다노 브루노  (2) 2010.11.05
Posted by TOTM
,

달이 밝던 지난 14일 올림픽공원 만남의 광장에서 한국천문연구원이 주관한 2011 대한민국 별축제가 개최되었다. 골든별, 음악회, 강연, 관측회 등 별과 관련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고, 많은 아마추어 천문인, 동아리, 동호회가 참가하여 밤하늘에 관한 열정을 공유하였다.
한 우물을 판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며, 외로움과 어려움을 감내해야 주어지는 성취를 향한 발걸음이다. 저마다의 관심사를 깊이 있게 다듬어 가는 아마추어가 존경받는 나라가 선진국이며, 사진 속의 사람들이 대한민국을 그곳으로 이끌고 있다.  



 2011년 5월, 올림픽공원, 5D Mark Ⅱ, EF 24-105mm F4L IS USM


 

2011년 5월, 올림픽공원, 5D Mark Ⅱ, EF 24-105mm F4L IS USM



2011년 5월, 올림픽공원, 5D Mark Ⅱ, EF 24-105mm F4L IS USM



 2011년 5월, 올림픽공원, 5D Mark Ⅱ, EF 24-105mm F4L IS USM

망원경이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 것은 사전에 신청순으로 45대까지만 참가하도록 제한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는 것은 언제나 기분 좋은 일이다.



'별표 원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을 피하는 법  (2) 2011.06.27
1,000  (4) 2011.05.16
받아들여진다는 것  (2) 2011.05.13
지오다노 브루노  (2) 2010.11.05
PTTU와 월상(月相)  (0) 2010.10.27
Posted by TOTM
,

혜성처럼

우주적 Camera Eye 2011. 5. 15. 14:18

 

OLYMPUS μ TOUGH-8010

 



하얀 꼬리를 길게 늘이며 결승점을 통과한 소년이 있다. 카메라를 내려놓는 순간 펼쳐진 장면이라 구도를 생각할 겨를도 없이 셔터를 눌렀다. 사실, 저 학생은 마지막에 들어왔다.

 

  

꼴찌를 위하여


             한돌


지금도 달리고 있지
하지만 꼴찌인 것을
그래도 내가 가는 이 길은 가야 되겠지
일등을 하는 것보다 꼴찌가 더욱 힘들다
바쁘게 달려가는 친구들아 손 잡고 같이 가보자
보고픈 책들을 실컷 보고 밤하늘에 별님도 보고
이 산 저 들판 거닐면서 내 꿈도 지키고 싶다
어설픈 일등보다는 자랑스런 꼴찌가 좋다
가는 길 포기하지 않는다면 꼴찌도 괜찮은 거야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을 따려면  (0) 2011.06.29
한국의 NASA  (0) 2011.06.10
내려도 될까?  (2) 2011.05.13
Big Bang 이후  (0) 2011.05.13
하늘이시여  (0) 2011.05.11
Posted by TOTM
,

Symmetry UFO를 타고 온 여덟 외계인들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지구에 내려도 안전할까?'




OLYMPUS μ TOUGH-8010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NASA  (0) 2011.06.10
혜성처럼  (0) 2011.05.15
Big Bang 이후  (0) 2011.05.13
하늘이시여  (0) 2011.05.11
Meteor shower of Ilsan, Korea  (2) 2010.12.02
Posted by TOTM
,


제88회 어린이날, OLYMPUS μ TOUGH-8010


빅뱅 이후 우주에 입자[각주:1]들이 공급되었고, 뻥튀기 아저씨는 빅뱅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추억을 공급하신다.




  1. 페르미온(페르미 입자), 보손(보스 입자), 힉스 [본문으로]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성처럼  (0) 2011.05.15
내려도 될까?  (2) 2011.05.13
하늘이시여  (0) 2011.05.11
Meteor shower of Ilsan, Korea  (2) 2010.12.02
월면(月面) 질주  (0) 2010.10.17
Posted by TOTM
,

 

 

2011년 4월, 경부고속도로, OLYMPUS μ TOUGH-8010

 



NAVER 사옥을 도로 위에서 촬영하였다. 현란한 형태와 장식을 가미한 건물들이 넘치는 시대지만, NAVER 사옥은 직육면체 그 자체로 단아한 미를 발산하는 미니멀리즘의 전형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단순함으로 치부될 수 있는 겉모습에 녹색 계열의 색채 조합을 입힘으로써 휴식, 환경, 미래와 같은 긍정적 이미지가 NAVER로 귀속되는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다. GREEN FACTORY라는 이름이 참 잘 어울리는 빌딩이다.
블로그를 개설한 후 NAVER, PARAN, DAUM에 검색 등록을 신청하였더니 각각 2주, 1달, 5개월쯤 지나 가부 메일을 보내왔다. NAVER나 PARAN과 달리 DAUM은 등록이 거부되었다.[각주:1] 그 까닭으로 개인적인 성격의 사이트나 블로그는 등록 대상이 아니라는 답변을 보내왔다. 아쉽지만 포털마다 운영 정책이 다를 것이므로 이해한다.
신청하고 기다리는 과정을 통하여, 누군가에게 받아들여진다는 것과 누군가를 받아들인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전자가 더 어렵고, 더 기쁜 일이리라. 나는 얼마나 받아들여지고, 받아들이며 살아왔을까?



 

  1. DAUM에는 2011년 7월 30일에 재신청하여 8월 1일에 등록되었다. 이로써 더 넓은 세상을 향하는 블로그가 되었다. 우공이산의 뜻이 필자 앞에 펼쳐지도록 하고 싶다. [본문으로]

'별표 원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0  (4) 2011.05.16
2011 대한민국 별축제  (2) 2011.05.16
지오다노 브루노  (2) 2010.11.05
PTTU와 월상(月相)  (0) 2010.10.27
LOT 162 / SALE 7706  (0) 2010.10.20
Posted by TOTM
,


OLYMPUS μ TOUGH-8010



오랜만이다. 글을 쓰지 못하는 중에도 시간은 흘러 어느덧 5월이다. 얼마 전 수원으로 출장을 갔다가 눈에 띄는 천문대가 있어 사진에 담았다. 최근에 지어진 화려한 천문대들에 익숙해진 눈을 가졌다면 사진 속의 돔은 개인용이라 해도 믿을 만한 외양을 가졌다. 하지만, 수많은 이들의 천문학적 호기심을 채워준 빛나는 역사를 가졌음을 생각한다면 겉모습이 가지는 가치란 크지 않은 것임을 다시 일깨워준다. 
사진을 보면 하단 우측에 교회의 첨탑이 있고, 돔 위로는 검은 점처럼 보이는 헬리콥터가 날고 있다. 먹구름에 가위눌린 천문대, 악천후로 위태로운 헬기, 음지에 처한 교회... 하늘에 바라는 건 한 가지일 것이다.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성처럼  (0) 2011.05.15
내려도 될까?  (2) 2011.05.13
Big Bang 이후  (0) 2011.05.13
Meteor shower of Ilsan, Korea  (2) 2010.12.02
월면(月面) 질주  (0) 2010.10.17
Posted by TOTM
,

How to catch a star

별꽂이 2010. 12. 8. 00:28

별을 좋아하는 어린이라 하면 많은 어른들이 자신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지 않을까? 필자도 초등학생 시절, 위인전 외
판을 위해 집에 찾아온 영업사원 앞에서 '저는 천문학자가 될 터이니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위인전만 필요해요'라고 당
돌하게 말했던 기억이 난다. 
Oliver Jeffers의 'How to catch a star'는 별을 사랑한 소년의 순수한 마음과 행동을 표현한 작품으로서 빛 공해와 아
파트 생활, 인터넷과 핸드폰, 그리고 공부를 위해 밤하늘 한 번 올려 볼 여유를 잃은 이 시대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어
른거리게 한다.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자연과 행위의 주체로서의 자아에 몰입하는 중요한 경험을 차단 당하는 인공화 시대에 들판과 해
변을 이성과 본성의 놀이터로 삼은 소년의 메시지는 청아한 감동을 준다. 다만, 상상의 폭을 좁히는 설명적 텍스
트와 반전에 대한 기대를 져버리는 작위적인 결말은 아쉬움을 남긴다.




                                      Oliver Jeffers,  Harper Collins Children's Books, 2005


There once was a boy who loved stars so much that he wished he had one of his very own. Every night he watched the stars in the sky from his bedroom window and dreamed of how he could be their friend and how
they could play hide-and-go-seek together. So, one day, he decided to set about catching a star of his very
own…


    Oliver Jeffers

 

Oliver Jeffers was born in Port Hedland, Western Australia in 1977 and bred in Belfast, Northern Ireland.
As a teenager, he thoroughly enjoyed playing the spoons and travelled the land frequenting every pub he could find looking for a group of musicians to harmoniously add his percussive talents to. Unfortunately, no-one recognised his musical talent, so to force some other way of fitting in, Oliver painted them instead. It was when he came runner-up in The Irish News amateur art competition in 1995 that he seriously considered painting as a direction in which to take his life. It was a good decision, as since then Oliver has travelled the globe extensively, exhibiting his work in New York, Sydney, Melbourne, London, Belfast and Glengormley.
He made his name as a young contemporary artist with several small exhibitions in Belfast between 1995 and 1998. At this time, Oliver also began illustrating book jackets for local publishing houses.
Whilst taking a break from university during 1999-2000, Oliver travelled across America and Australia, settling in Sydney for a period to work in freelance illustration and painting. In Australia, he illustrated for various magazines and got his first big break when Lavazza Coffee Company saw his offbeat coffee illustrations. They subsequently commissioned him to paint some pictures for their HQ and to illustrate their Christmas cards. They also featured him in a live exhibition during the Aroma coffee festival at The Rocks, Sydney, where he illustrated on site in front of thousands of people, using coffee rings and black ink.
Oliver returned from his travels in 2000 to finish his degree at the University of Ulster. He graduated with a First Class Honours Degree in Illustration and Visual Communication. During his final year, he had a prominent exhibition of portraiture in the John Hewitt Bar, Belfast. The exhibition was entitled 'Boys At The Bar', and depicted the afternoon (and morning!) drinking culture of Belfast. It attracted a great deal of media attention and all 16 pieces sold on the opening night.
Oliver's eye-catching style of artwork has taken him in many directions, including poster illustration, painting 10 commissioned artworks for a London bar and designing album covers. He paints in an impressive range of styles and sizes with a wide variety of media, and is currently experimenting by pushing the creative boundaries of picture books.
Oliver began writing and illustrating children's stories when he realised that people didn't believe what he did with his time. He has had a number of adventures that he has collected into his books for children; his debut picture book, 'How to Catch a Star', was inspired by a moment sitting on the end of a jetty in Sydney, looking at the stars. Not having an agent, Oliver sent his work unsolicited to HarperCollins Publishers. Its potential was immediately recognised, it was whisked off the slush pile and the publishing process began. In 2004, the book was published by HarperCollins Children's Books and was also short listed for the Booktrust Early Years Award for Best New Illustrator. In 2005, 'How to Catch a Star' won a Merit Award at the CBI/Bisto Book of Year Awards.
After the international success of 'How to Catch a Star', Oliver went on to produce the breathtakingly beautiful follow-up, 'Lost and Found', which garnered fantastic sales and critical acclaim on publication and went on to win the Gold Award at Nestle Children's Book Prize in 2005.
He continues to exhibit his art in major cities of the world and was recently commissioned to produce illustrations for Starbucks' nation-wide in-store displays in the UK
Oliver loves plastic food, suitcase handles and Elvis, and has developed a bizarre habit of endlessly writing lists he never reads. He remains hell bent on travelling all over the world. 


* 영문 줄거리 및 작가 약력 출처 : 교보문고


'별꽂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 하나 별 둘, 소원이 이루어져요  (0) 2011.09.18
지상의 별이 그리는 생명의 궤적  (0) 2011.07.08
Papa, Please get the moon for me  (0) 2010.12.08
내 것과 네 것  (2) 2010.11.03
'별과 우주'의 시작과 끝  (0) 2010.10.11
Posted by TOTM
,

달의 위상 변화라는 익숙한 천문 현상을 다리 삼아, 명랑한 소녀와 자상한 아빠가 나누는 교감을 이야기하는 상쾌한 그림책이다. 보름달까지 닿은 사다리와 그믐달을 손에 쥔 소녀의 모습에서 대략을 어림해 볼 수도 있지만, 판화 기법과 붓칠에 의한 마티에르는 시각적인 힘과 율동감을 전달하며 눈길을 붙잡는다. 또한 독자로 하여금 이야기를 앞서 가며 상상하지 못 하게 하는 속도감과 명쾌한 기승전결은 강한 청량감을 남겨 준다. 하드보드지 제본과 단순한 구조의 팝업이 어린 날의 기억들을 더듬게 만드는 'Papa, Please get the moon for me'는 오래 오래 간직하고 싶고, 두고 두고 읽고 싶으며, 아이들은 물론 아이를 가진 부모들에게 권하고 싶은 그런 책이다.   






Eric Carle, Little Simon, 1999


Monica wants the moon to play with, so her Papa sets out to get it for her. It isn't easy to climb all the way up to the moon, but he finally succeeds-only to find that the moon is too big to carry home!. The way in which this problem is solved is a joyful surprise.
Here is a multi-faceted story that appeals to children visually, verbally and emotionally, and which also contains a first lesson in natural history, depicting the eternal cycle of the waxing and waning of the moon. The simple text, just right for reading aloud or for the beginning reader expresses perfectly the purity of a father's love for his child. Small readers will empathize with Monica's longing for the moon, and will be reassured by her father's willingness to try to make her wish come true. And, on a deeper level, they will recognize that Papa is not merely fulfilling Monica's whim, but is demonstrating to her that even a seemingly unreachable goal can actually be attained. Papa, Please Get the Moon for Me is a book to be re-read many times, and to be treasured for its beauty and its positive message of love and inspiration.

  


Eric Carle 
 

Eric Carle well-known creator of many beloved picture books for small readers and listeners, including such classics as Papa, Please Get the Moon for Me, The Tiny Seed, Rooster's Off to See the World, A House for Hermit Crab, and The Very Hungry Caterpillar. He is especially celebrated for his unique ability to combine learning with pleasure. Children delight in the distinctive beauty of his illustrations - richly layered collages in glowing colors - and they love his entertaining stories, which invite them to make their own discoveries in a natural, joyful way.
Born in Syracuse, New York, Eric Carle received much of his education in Germany. He is a graduate of the Akademie der bildenden Kunste in Stuttgart, where he learned about Goethe's color theory and complementary colors. But the chief inspiration for Hello, Red Fox came from his talks with young readers themselves, who were surprised and fascinated when he demonstrated for them - just like in this book - that all colors have opposites.
Eric Carle has two grown children. He and his wife live in western Massachusetts.



* 영문 줄거리 및 서평, 작가 소개 출처 : 교보문고



'별꽂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상의 별이 그리는 생명의 궤적  (0) 2011.07.08
How to catch a star  (2) 2010.12.08
내 것과 네 것  (2) 2010.11.03
'별과 우주'의 시작과 끝  (0) 2010.10.11
디지털이 오다 2  (0) 2010.10.09
Posted by TOTM
,

 

Lighting design of outdoor wall in department store bring up the image of meteor shower.

 

 


 

5D Mark Ⅱ, EF 24mm f1.4L Ⅱ USM

 

 

자유로에서 보이는 백화점을 촬영하였다. 시계가 없어 마음으로 120초를 세었는데 122초가 찍혔다. Mute와 Out focus가 외려 더 많은 감상(感想)을 일으킨다.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성처럼  (0) 2011.05.15
내려도 될까?  (2) 2011.05.13
Big Bang 이후  (0) 2011.05.13
하늘이시여  (0) 2011.05.11
월면(月面) 질주  (0) 2010.10.17
Posted by TO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