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카메라에는 시간 설정 기능이 있다. 촬영 일시를 기록함으로써 사진의 가치를 높이고 쓰임을 넓히기 위해서다. 하지만, 원자시계라 한들 오차가 발생하므로 시계의 생명은 교정에 달려 있다.

문제는 카메라 구입 직후 맞춰 놓은 내장시계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지 않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는 점이다. 사진의 성격상 정확한 시각 기록이 필요 없다면 모를까 미처 생각지 못해서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카메라 가격과 내장시계의 정확성이 늘 정비례하지는 않는다. 대체로 1년에 5분 내외로 느려지거나 빨라지는데, 기록으로서의 의의를 갖는 천체사진에서는 대단히 큰 오차이다. 정확한 시간 설정은 천문현상 촬영은 말할 필요도 없고 별풍경 사진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본기라 하겠다. 따라서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은 내장 시계를 교정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위는 5D Mark Ⅲ 사용 설명서이다. 국내 사용자는 시간대를 '도쿄'로 선택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동경 135도 기준의 표준시[각주:1]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간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 조선은 동경 120도를, 대한제국은 127도 30분을 기준으로 삼았다. 모두 우리 땅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일본에게 주권을 빼앗기며 동경 표준시가 강제되었으나 1954년에 다시 127도 30분으로 수복한다. 하지만 불과 7년 뒤인 1961년 8월 10일, 군정에 의해 다시 동경 표준시로 되돌려진 후 오늘에 이르렀다. 개탄스러운 불합리가 아닐 수 없다.

 

 

 

 

 

  1. 동경 표준시 사용은 여러 면에서 문제가 있으나, 실생활과의 관계만 보아도 확연해진다. 음력은 우리나라에서 관측되는 합삭일을 기준으로 정해져야 맞다. 하지만, 동경 표준시를 쓰니 일본에서 보이는 달의 위상 변화가 음력의 기준이 된다. 한국인의 삶에서 부정확한 음력은 문화적 혼란을 초래한다. [본문으로]

'Homo Faber > 촬영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생겼다, SAMYANG  (0) 2014.03.23
TOAST-Pro Delicious  (0) 2013.04.23
고감도 센서와 별사진  (0) 2013.03.06
유력 후보, SAMYANG  (0) 2013.03.02
Fisheye-Nikkor MF 16mm F2.8용 diffuser 필터의 자작  (0) 2012.08.21
Posted by TOTM
,

 

 
5D mark Ⅲ, EF 17-40mm F4L USM
 
 
 
어서 와, 마트는 처음이지?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5일을 향하는 해시계  (0) 2013.05.04
벚꽃자리  (2) 2013.05.01
Multiple eclipse의 그림자  (0) 2013.04.18
분홍 외계인들과 두 개의 적색왜성  (0) 2013.04.17
사일리지와 팔등신 인공별  (0) 2012.12.02
Posted by TOTM
,

 

 

 

5D Mark Ⅲ, EF 70-300mm F4-5.6L IS USM

 

2013년 4월 26일

 

 

 

최대 식분이 0.020으로 예정된 초라한(?) 부분월식이라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지구 본영에 가려진 부분이 기대 이상으로 확연하여 장엄함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올해 처음이자 마지막 월식에서 꽃잎처럼 지던 보름달을 벚꽃과 함께 담았다.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의 시직경 변화, 1년의 기록  (2) 2014.04.29
달의 시직경 변화, 첫 번째  (0) 2013.05.26
목성과 초승달  (0) 2013.04.22
Free hugs  (0) 2013.03.16
서해 월광  (2) 2012.08.10
Posted by TOTM
,

 

 

 

http://www.lighting-museum.com/new/exh/exh2_1-1.asp

 

 

 

'별빛과 불빛'이라는 작품으로 2013 빛공해사진 공모전에 응모[각주:1]하였다. 별풍경 사진과 광해 사진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광해를 온전히 피하기 어려운 세상에 살고 있으니 작품에 따라, 명명하기에 따라 장르가 달라질 수 있다. -_-

어쨌거나, 공모 취지에 맞는 사진을 골라 올렸다. 제 새끼 함함하다는 고슴도치가 눈앞에 아른거리지만, 아타락시아를 향하기로 한다.  

 

 

 

  1. 공모전은 저작권에 대해 깊이 생각한 후 응모해야 한다.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 중 후자는 대부분의 경우 주관기관에 양도된다. 따라서 유의사항을 잘 알아보고 사진을 넘겨야 후회할 일이 없다. 상금은 괜히 주는 것이 아니다. [본문으로]

'별표 원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의 눈물  (0) 2013.05.29
Lake Tuz  (0) 2013.05.07
望을 보려 望을 보다  (0) 2013.04.25
정글의 법칙과 가보의 탄생  (0) 2013.04.10
행복이 농축되는 시대  (0) 2013.04.09
Posted by TOTM
,

 

 

 

http://www.kma.go.kr/weather/main.jsp

 

 

 

올해 시도하고 있는 사진이 있다. 달의 칭동과 더불어 시직경의 변화를 촬영하는 것으로, 고수들은 하지 않는 틈새시장 놀이이다. 노력은 둘째 치고 하늘이 도와야 가능한 일인데 두 번째 보름부터 난항이 시작되었다. 26일 새벽이 망이지만 요 며칠 날씨로 보아선 불안하기 그지 없다. 일기예보 대로 구름이 걷혀 주기를 바란다. 다달이 긴장하게 될 2013년이다. 

 

 

 

 

'별표 원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ke Tuz  (0) 2013.05.07
2013 빛공해사진 공모전 응모  (0) 2013.04.26
정글의 법칙과 가보의 탄생  (0) 2013.04.10
행복이 농축되는 시대  (0) 2013.04.09
Hubble과 나  (0) 2013.03.25
Posted by TOTM
,

Catherine Karnow라는 사진작가에 대해 필자는 알지 못한다. 하지만 그녀로부터 이메일이 왔다. 정확히 말하면 National Geographic이 발송한 단체 메일이다. 그래도 'Hello Yonggwon'으로 시작하여 'We are all explorers'로 매듭지어진 편지를 읽으며 마음만은 봄나들이를 했다. 지난 일요일, National Geographic Society에 가입했기에 받게 된 멤버 대접(?)이다.  

National Geographic 홈페이지와 월간지에서는 'Your shot'을 공모하고 있으며 이에 응모하기 위해선 회원으로 가입해야 한다. 믿는 구석이나 목표 시한은 없다. 그저 사진 찍을 구실이며, 지금은 알지 못하는 기회에 한 뼘 다가서고 싶을 뿐이다.

 

 

 

 

 

 

 

 

 

http://photography.nationalgeographic.com/photography/photographers/photographer-catherine-karnow/?utm_source=NatGeocom&utm_medium=Email&utm_content=member_welcome_2&utm_campaign=Membership

 

 

 

 

 

https://members.nationalgeographic.com/

 

 

 

 

 

http://ngm.nationalgeographic.com/your-shot/

 

 

 

 

 

Posted by TOTM
,

 

 

 

http://dc.watch.impress.co.jp/docs/news/20130202_586146.html

 

 

 

지난 1월 31일부터 2월 3일까지 개최된 CP+ 2013에서는 TOAST-TECH사의 새로운 추적 장치가 선을 보였다. 컨셉트 모델인 까닭에 시판 일정이나 가격 등은 알려지지 않았고, 출시 계획이 있는지조차 알 수 없다. 하지만,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고 GPS 리시버, 전자 수평계, 전자 컴퍼스, 자이로스코프, 타임랩스 촬영 기능 등을 내장하여 편리성과 쓰임새가 확장되었으므로 많은 관심을 받으리라 생각된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나 단순 기능에 충실하거나 아니면 집약적이어야 선택 받는다. 이도 저도 아니면 기억되지 못하는 것이 우리들 사는 세상 같다.

 

 

 

 

'Homo Faber > 촬영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생겼다, SAMYANG  (0) 2014.03.23
카메라 시간 설정의 중요성  (2) 2013.04.30
고감도 센서와 별사진  (0) 2013.03.06
유력 후보, SAMYANG  (0) 2013.03.02
Fisheye-Nikkor MF 16mm F2.8용 diffuser 필터의 자작  (0) 2012.08.21
Posted by TOTM
,

 

 

 

5D Mark Ⅲ, EF 70-300mm F4-5.6L IS USM

2013년 4월 14일 21시 10분

 

 

 

 

폭풍 치는 행성

 

바람 없는 위성

 

둘만 남은 우주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의 시직경 변화, 첫 번째  (0) 2013.05.26
4월 26일의 부분월식  (2) 2013.04.27
Free hugs  (0) 2013.03.16
서해 월광  (2) 2012.08.10
교동도 가는 길  (0) 2012.08.10
Posted by TOTM
,

 

 

 

 

 

 

제21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장려상을 받게 되었다. '금성의 태양면 통과를 정찰하라!'라는 작품이다. 두 번째 도전에서 수상하다니 운이 좋았다고 생각한다. 어제 오후에 문자가 여러 건 왔는데 왠지 그중에 기다리던 소식이 있을 것 같았다. 별사진으로는 처음 받는 상인 만큼 메시지를 확인하며 느꼈던 기쁨은 오래도록 가슴에 남을 것이다.

 

 

Many of life's failures are those who didn't know how close they were to success

when they gave up.

 

 

에디슨이 남긴 말로서 필자가 특별하게 여기는 격언이다. 쟁쟁한 분들의 틈에 이름을 올렸으니 이제 데뷔한 셈이다. 시작하는 마음으로 가던 길 계속 걸어가겠다.    

 

 

 

 

 

'Prof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ional Geographic Society 가입  (0) 2013.04.24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멤버가 되다  (0) 2013.02.03
Posted by TOTM
,

 

 

 

GALAXY S2 HD LTE

 

 

 

초파일 연등이 만들어 낸 작은 日蝕의 흔적들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자리  (2) 2013.05.01
동네 외계인 오빠들  (0) 2013.04.29
분홍 외계인들과 두 개의 적색왜성  (0) 2013.04.17
사일리지와 팔등신 인공별  (0) 2012.12.02
雨走船  (0) 2012.10.22
Posted by TO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