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조이 혜성은 2014년 8월 17일에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Terry Lovejoy[각주:1]가 발견하였다. 학명은 C/2014 Q2이며, 8,000년 후에나 다시 볼 수 있는 장주기 혜성이다. 탄소와 cyanogen의 이온화로 인해 청록색을 띤다고 한다.  

 아래 사진은 러브조이 혜성이 지구로부터 약 70,200,000km 거리에 있던 2015년 1월 9일 00:52, 말레이시아 Tanjung Aru 해변에서 촬영하였다.

 

 

 

 

 

 

 

우측에 보이는 섬은 Manukan 섬(작은 불빛들)과 Mamutic 섬(큰 불빛)이 겹쳐진 모습이며, 가운데 불빛 없는 섬은 Turtle 섬이다.

 

 

 

 

 

 

 

겨울 별자리들과 혜성, 바다를 함께 담으려 광각으로 촬영하였더니 러브조이가 눈에 띄지 않는다.

 

 

 

 

 

 

 

위 사진을 부분 확대한 것이다. 작고 희미하지만 러브조이 혜성 특유의 청록색을 확인할 수 있다.

 

 

 

 

 

 

  1. 또 다른 러브조이 혜성인 C/2011 W3도 발견하였다. [본문으로]

'Starry Night > 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자수 위로 흐르는 겨울 대삼각형  (0) 2015.01.11
사자자리, 겨울 바다에 내리다  (2) 2014.12.08
Posted by TOTM
,

 

 

 

 

 사진 속의 빨간색 택시를 타고 들렀던 말레이시아 사바 주립 모스크[각주:1]이다. 금빛 파상 문양의 돔이 인상적이다. 촬영 당시에는 알지 못하였으나 두 개의 첨탑 사이로 무언가 날아가고 있다. 확대한 사진을 보면, 새나 비행기는 아닌 듯하며 커다란 크기로 보아 곤충이라 하기에도 무리가 있다. 베이퍼 현상으로 유명한 가평 UFO 사진처럼 본체(?) 주변의 잔상까지 찍혔다. 셔터 속도가 1/125 s였는데, 초파리 같이 초당 200번 넘게 날갯짓을 하는 곤충이라면 사진 속 모습처럼 찍힐까? 비행접시는 아닐지라도 필자의 두 번째 '미확인비행물체' 기록사진으로 남긴다. 

 

   

 

 

 

 

 

 

 

5D Mark Ⅲ, EF 16-35mm F4L IS USM

 

f8, 1/125 s, ISO 100, @24mm

 

 

 

 

 

 

 

 

 

이렇게 자르니, Interstellar flight가 되었다. 

 

 

 

 

 

 

  1. Sabah State Mosque [본문으로]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에 뜬 별, 치명적 유혹  (0) 2015.08.24
지구 방문 기념  (0) 2015.03.14
우주를 향한 여섯 개의 접시  (0) 2015.01.19
NOVA 그리고 여섯 지구  (2) 2015.01.16
GMO 해바라기  (0) 2014.10.05
Posted by TOTM
,

 

 

 

 

 

 비행기의 비상창을 통해 마차부자리를 촬영하였다. 좌측 하단에 히야데스와 플레이아데스 성단도 보인다. 원형 창문으로 밤하늘을 보노라니 VIRGIN GALACTIC사의 스페이스 쉽이 떠올랐다. 고도 100km에서 바라보는 우주는 무척이나 찬란하겠지만, 평범한 비행기라도 관측창의 모양이나 배치에 따라 우주여행하는 기분에 살짝 다가가 볼 수 있다.  

 

 

 

 

 

 

 

'Starry Night > 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곰자리와 함께 날다  (0) 2016.08.15
대만 상공의 겨울 별자리들  (4) 2015.03.28
지상의 별, 반딧불이  (0) 2015.03.04
가면  (0) 2014.05.26
Posted by TOTM
,

 

 

 

 

 

 

 동네를 돌아다니며 보니, 골목마다 집집마다 온통 ASTRO[각주:1]뿐이다. 말레이시아의 위성방송 업체로서 중국, 인도까지 서비스한다고 한다. ASTRO... 인공 천체로 사업하는 회사의 이름으로, 지구 바깥을 조준하는 안테나의 이름으로 참 그럴싸하다. 

 

 

 

 

 

  1. All-Asian Satellite Television and Radio Operator [본문으로]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 방문 기념  (0) 2015.03.14
Sabah 주립 모스크 위의 UFO  (0) 2015.01.21
NOVA 그리고 여섯 지구  (2) 2015.01.16
GMO 해바라기  (0) 2014.10.05
2014 A SPACE ODYSSEY  (0) 2014.09.23
Posted by TOTM
,

 

 

 

 

 

 

 말레이시아 코타 키나발루의 탄중 아루 해변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수평선 위로 두 번째 석양이 나타났다. 이날은 18시 14분에 해가 졌는데, 그로부터 1시간이 지난 19시 14분에 나타난 현상이다. 일몰 때, 태양 빛이 사방으로 퍼지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는 태양주(sun pillar) 현상의 한 형태로 추정한다.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rk Ages  (0) 2016.08.15
Feather shot  (0) 2016.03.12
태양과 바다  (0) 2015.01.18
흑점 관측 주간  (0) 2014.12.20
탐조가와 경계병과 해그림자  (0) 2014.01.28
Posted by TOTM
,

태양과 바다

Starry Night/해 2015. 1. 18. 18:24

 

 

 

 

 

 

 수평선 위로 구름이 가득하다. 아름다운 석양을 기대했던 많은 사람들이 하나 둘 자리를 비웠다. 하지만, 삼각대를 접고 싶지 않았다. 카메라를 들고 다니며, 찰나를 상대해 오며 '가능성이 없지 않다면, 그것은 가능하다'는 이치를 경험하곤 하였었다. 과연, 기다린 이를 격려하듯 태양이 드러났다.      

 생명의 근원이며, 생명체의 고향인 태양과 바다. 그 거대한 모체를 마주하는 감동과 경외의 순간을 코타 키나발루에서 담았다.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ather shot  (0) 2016.03.12
Tanjung Aru 해변의 두 번째 석양  (0) 2015.01.18
흑점 관측 주간  (0) 2014.12.20
탐조가와 경계병과 해그림자  (0) 2014.01.28
Pan-STARRS 혜성 촬영 실패기  (0) 2013.03.13
Posted by TOTM
,

 

 

 

 

 

 

 어디를 가든, 길을 걷다 보면 별을 형상화한 의류나 소품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초신성의 후예'로서 떨칠 수 없는 향수, 우리가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들이다.

 초승달과 별의 나라, 말레이시아의 어느 잡화점 앞을 지나다 촬영한 사진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본 듯한 지구본 탱탱볼에 눈길이 갔다. 공교롭게도 5대양 중 북극해를 제외한 인도양, 태평양, 대서양, 남극해가 펼쳐져 있다. 그 위에는 'NEW STAR'라는 상표의 신발 상자들이 쌓여 있고, 앞쪽으로는 노란 공이 마치 항성처럼 자리 잡고 있다. 사진기를 들지 않을 수 없는 장면과 마주칠 때는 언제나 설레인다.

 일본의 '나가이 도모야I[각주:1]'가 쓴 '지구가 100센티미터의 공이라면'이라는 어린이 교양도서가 있다. 그 책 서문에는 일본과학미래관장 '모리 마모루'의 글이 실려 있다.     

 

 

나는 우주왕복선을 타고 두 번이나 우주에서 지구를 보고 왔습니다.

우주에서 보이는 지구는 파랗게 빛나는 대단히 아름다운 행성이었습니다.

눈을 돌려 밖을 보면 우주의 어둠, 아주 새까만 공간이 끝없이 펼쳐져 있습니다.

지구란 어둠 속에 홀로 떠 있는 행성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지구로 돌아와 '만일 이 지구가 100센티미터의 공이라면'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

.

.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

.

.

 

 

 어떻게 살아야 할까? 쉽고도 어려운 질문이다. 온난화에 지구가 지치듯, 세상사가 머리를 달군다. '일'과의 밀당부터 잘하고 볼 일이다.  

 

 

 

 

 

 

 

  1. 도쿄대학교에서 천문학을 전공한 후 일본 국립천문대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는 과학 교육 진흥을 위한 일을 하고 있다. [본문으로]

'우주적 Camera Ey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bah 주립 모스크 위의 UFO  (0) 2015.01.21
우주를 향한 여섯 개의 접시  (0) 2015.01.19
GMO 해바라기  (0) 2014.10.05
2014 A SPACE ODYSSEY  (0) 2014.09.23
Amaluna  (0) 2014.09.21
Posted by TOTM
,

 

 

 

 

 

 

 지난주, 말레이시아 사바에서 촬영하였다. 우리나라가 겨울일 때 보르네오 지역은 우기인데, 이와 상관없이 열대 지방은 매일 스콜이 내리며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을 보기가 쉽지 않다.

 위 사진은 서쪽 하늘 구름 사이로 나타난 겨울철 대삼각형과 알데바란,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담은 것이다. 운 좋게도 오리온 주변으로만 구름이 오지 않아 일주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아래 사진은 동쪽 하늘의 모습이다. 휘영청 밝은 달이 떠 있고 고적운이 가득하다. 덕분에 달 주위로 광환이 나타났다. 태양광 또는 월광이 얇은 구름층을 통과할 때 빛의 회절에 의해 발생한다. 권층운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굴절 현상인 해무리나 달무리와 달리 흔하게 볼 수 있으며, 광관 현상이라고도 한다.  

 

 

 

 

 

 

 

 

 

 

 

 

 

'Starry Night > 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를 지나는 러브조이 혜성  (0) 2015.01.31
사자자리, 겨울 바다에 내리다  (2) 2014.12.08
Posted by TO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