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5'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14.05.26 가면
  2. 2014.05.16 AstroCamera 2014 Competition Open for Entries
  3. 2014.05.15 (6-1)×(3-1)=목성 2
  4. 2014.05.14 야간비행
  5. 2014.05.13 1000년 만의 보름달

가면

Starry Night/지구 2014. 5. 26. 00:23

 

 

 

 

 

 

 Yann Arthus-Bertrand의 '하늘에서 본 지구' 연작을 떠올리며 촬영한 항공사진이다. 오염으로 검어진 삽교호 위에 작은 섬 두 개가 떠있다. Zorro가 쓰던 안대형 가면 같다는 생각을 했다. 

 선거철이 돌아오니 공(功)은 자기 앞으로, 과(過)는 남의 탓으로 돌리는 모습들을 다시 보게 된다. 그럴싸한 가면을 쓴 이들 말고, 약자를 위하고 사회를 치유하고자 맨 얼굴로 땀 흘릴 사람들을 뽑고 싶다. 

 

 

 

 

 

 

'Starry Night > 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곰자리와 함께 날다  (0) 2016.08.15
대만 상공의 겨울 별자리들  (4) 2015.03.28
지상의 별, 반딧불이  (0) 2015.03.04
마차부의 야간 비행  (0) 2015.01.21
Posted by TOTM
,

Hewelianum Centre[각주:1]에서 주관하고, ESO[각주:2]가 후원하는 천체사진 공모전 AstroCamera 2014가 시작되었다. AstroCamera는 달 지형 연구의 시조인 폴란드 천문학자 Johannes Hevelius를 기리기 위한 대회이다. 5월 12일부터 7월 18일까지 접수한다. 

 

 

 

 

 

 

http://www.eso.org/public/announcements/ann14036/

 

 

 

 

 

 

http://www.eso.org/public/images/potw/

 

ⓒ Christoph Malin

 

 

 

ESO 누리집을 둘러보다 마주친 사진이다. ALMA[각주:3] 위로 화구가 떨어지고 있다. 타임랩스 촬영 중에 잡힌 장관이라고 한다. 섬광의 빛깔이 인상적이다.

 

 

 

 

 

  1. 과학의 대중화를 위한 교육기관으로서 폴란드 그단스크에 있다. [본문으로]
  2.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유럽 남방 천문대 [본문으로]
  3.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망원경 무리 [본문으로]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석 Database  (0) 2014.11.18
DDP, 진주운석 전시  (0) 2014.06.15
Posted by TOTM
,

 

 

 

 

 

 

무얼 먹고 사나

 

 

                    윤동주

 

 

 

바닷가 사람

물고기 잡아 먹고 살고

 

 

산골엣 사람

감자 구워 먹고 살고

 

 

별나라 사람

무얼 먹고 사나

 

 

 

 

 

 

* 겨울철의 육각형과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들 중에서 프로키온이 쌍안경에 가렸다. 대신 목성이 빛나고 있다.

 

 

 

 

 

'Starry Night > 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pella와 시계탑  (0) 2014.11.29
달, 그 쓸쓸함에 대하여  (0) 2014.01.28
홍콩 밤하늘의 달과 목성  (0) 2014.01.28
별에게 가는 계단  (0) 2011.09.01
월령 19.1일의 달그림자  (0) 2011.07.20
Posted by TOTM
,

야간비행

Starry Night/달 2014. 5. 14. 23:13

 

 

 

 

2014년 5월 13일 22시 35분에 촬영한 월령 14일의 달이다. 티코 크레이터 아래쪽에 무언가 날아가고 있다. 이것이 과연 새일까?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영식과 새 한 마리  (0) 2014.10.10
개기월식, 밤하늘에 획을 긋다  (0) 2014.10.09
달의 시직경 변화, 1년의 기록  (2) 2014.04.29
달의 시직경 변화, 첫 번째  (0) 2013.05.26
4월 26일의 부분월식  (2) 2013.04.27
Posted by TOTM
,

 

 

 

http://apod.nasa.gov/apod/ap140118.html

 

 

 

 

위 사진은 2014년 1월 18일자 APOD로서 '원지점의 보름달'이란 작품이다. 캘리포니아 Lick 천문대 위로 떠오르는 순간을 Rick이라는 천문인이 촬영하였다. 지난 1,000년 이래 지구로부터 가장 멀어졌던 보름달이라고 한다. 이보다 작은 크기로는 140년 뒤인 2154년에나 볼 수 있다니, 지나간 우주적 사건들을 다시 보기란 운 좋은 십장생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다.  

필자도 저 달을 사진으로 남겼다. 하지만 앞서 이야기한 특이점이 있다는 사실을 당시에는 알지 못하였다. 대부분의 아마추어들이 그렇듯, 필자도 천문력[각주:1]을 바탕으로 촬영 계획을 세우므로 여기에 안내되어 있지 않으면 놓치기도 한다. 2012년 8월 14일 새벽에 있었던 금성 엄폐가 그러하였다. 그해 천문력에는 언급되지 않아 '준비'했던 사람들이 남긴 사진을 보고 나서야 알았다. 10세기 만의 초미니 달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올해 가장 작은 보름달이라고만 설명되어 있을 뿐이다.

무언가를 잘 하려면 준비를 제대로 해야 한다. 준비에 실패하면 실패를 준비하는 것이란 말이 있다. 천체사진도 한 가지 경로로만 접근하면 빈틈이 나기 쉬우므로 정보원(情報原)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Apogee's full moon을 담아낸 Rick Baldridge가 고수인 까닭은 그가 밤하늘 관계망, 즉 Night Sky Network의 운영자라는 사실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http://nightsky.jpl.nasa.gov/index.cfm

 

 

 

 

 

  1. 이태형님의 '천문우주기획'에서 발간하는 천문력을 애용한다. [본문으로]

'별표 원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 로켓 축제, Bun Bung Fai  (0) 2014.06.26
운석과 사람  (0) 2014.06.01
과학동아천문대  (0) 2014.04.26
EARTH HOUR 2014  (0) 2014.03.23
타임랩스와 주마등  (0) 2014.01.29
Posted by TO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