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14'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2.08.14 페르세우스 유성우 이브
  2. 2012.08.14 대전시민천문대와 연금술

 

5D mark Ⅲ, EF 17-40mm F4L USM, handheld 촬영

 

 

 

위 사진은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하루 앞둔 8월 11일, 처가 옥상에서 촬영하였다. 돗자리에 누워 두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고 손각대 촬영한 것치고는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용자리, 작은곰자리가 점상으로 잘 나왔다.

팔베개를 한 딸과 함께 삼십 분 남짓한 시간 동안 여섯 개의 별똥별을 보았다. 그중 두 개는 시야의 반 이상을 가로지르는 엄청난 길이와 밝기를 보여 주었다. 그 대단한 유성들은 ZHR : 100으로 예고된 보기 드문 장관의 전조였을 것이다. 하지만, 사진기를 내려놓으면 떨어지는 별똥별... 센서를 달았나?

사진 속의 하늘은 무척 맑아 보이지만, 곳곳에 비가 내리고 구름이 많은 날이었다. 결국 일요일에 있었던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볼 수 없었다. 그래도 필자와 딸의 마음 속엔 ZHR : ∞의 유성우가 남았다.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맞이꽃의 개화  (0) 2015.07.24
나의 빈 자리  (2) 2014.10.26
  (0) 2012.01.10
나무는 별을 향해 자란다  (2) 2011.09.01
안녕, 경춘선  (0) 2011.08.01
Posted by TOTM
,

대전시민천문대에 오르려면 여느 천문대와 마찬가지로 비탈길을 통해야 한다. 하지만, 짧은 진입로 끝의 모퉁이를 돌면 나타나는 천문대는 산정보다는 언덕에 자리잡았다고 하는 편이 바르다.

시내의 대로변에 위치하며, 어린이와 일반인에게 개방된 대전시민천문대[각주:1]는 천문학의 대중화를 표방하여 설립된 제1호 시민천문대이다. 비구름 사이로 간혹 하늘이 드러나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가족 단위의 방문객들이 눈에 띄고, 특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 강의실이 북적이는 모습에서 목표 진로를 따라 순항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민천문대의 탄생과 '하늘 놀이터'라는 별칭에는 한국천문연구원 3, 4대 원장 박석재 박사의 철학이 녹아 있다. 세상과 거리를 둔 학자들의 전유물이 아닌 함께 즐기는 학문으로서의 천문학을 추구해 온 분답다.

육체의 수명은 텔로미어의 길이에 비례한다지만, 국가의 흥망은 어린이들의 마음씨와 상상력에 달려 있다. 동네마다 도서관과 천문대를 세우고, 차세대를 정책의 중심에 두는 나라는 시대의 흐름과 미래의 방향을 이끄는 우주적 수준의 국력과 매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떡도 떡같이 못 해 먹고 찹쌀 한 섬만 없애는 어른들이 흙 한 줌으로 연금술을 펼치는 어린이들로부터 배울 게 많은 대한민국이기에 시민천문대와 같은 과학적 문화 공간은 다다익선이며,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늘 놀이터'를 모토로 하는 대전시민천문대 전경

 

 

 

 

매주 토요일 '별 음악회'가 열리는 플라네타리움

 

 

 

 

우주정거장이 떠오르는 ZEISS사의 SKYMASTER ZKP 3

 

 

 

 

구경 254mm로 국내 최대인 주망원경. 우리나라 대부분의 천문대가 반사식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굴절식이다.

 

 

 

 

안내 리플릿 표지

 

 

 

 

안내 리플릿 속지

 

 

 

  1. 입장료나 관람료, 시설 이용료가 없다. 세상에 무료라니! [본문으로]

'별표 원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을 끄고 별을 켜다  (0) 2012.08.22
Adam Steltzner  (2) 2012.08.15
2012 별하늘지기 천체사진 전시회  (0) 2012.08.13
누가 누구를?  (0) 2012.06.17
RC-12N Guardrail  (0) 2012.06.17
Posted by TO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