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캐나다 벤프에서 야영하며 촬영한 사진입니다. 은하수 위를 나는 백조와 견우를 찾는 직녀, 헤라의 황금사과를 지키던 용을 한 컷에 담았습니다. 제 이름 안에 용이 살고 가장 좋아하는 과일 또한 사과라서 다르게 와닿는 용자리지만, 전체적 짜임새를 위해 절반은 포기하였습니다.

 15초의 노출을 주는 동안 운 좋게도 비행체 2기가 지나갔습니다. 백조자리의 알파별 데네브 옆과 용머리 아래에 궤적이 남았습니다. 일주사진에서는 흠이 되곤 하지만 점상 속의 인공 궤적은 구성미를 주기도 합니다.

 사막이 아니고서야 구름 없는 밤은 귀하기에 더 많이 찍고 싶었습니다만, 흑곰과 불곰이 사는 곳이라 으스스하기도 하고 다음 날 장거리 운전[각주:1]을 해야 해 잠깐 머물다 텐트로 돌아갔습니다. 

 주변의 나무들은 Lodge pole pine tree입니다. 캐나디언 로키 지역의 우점종입니다. 캐나다의 자연은 참 웅장하고도 아름답지만, 우리나라에 비해 식생이 단조롭다고 느꼈습니다. 군맹무상이겠지요.

 

 

 

 

 

 

  1. 고속도로가 아닌데도 '다음 주유소까지 100km'라는 표지판을 만나면 반갑기도 하고 부럽기도 했습니다. [본문으로]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극성 가는 길  (0) 2013.03.12
소원을 말해 봐  (0) 2013.03.11
나선형 우주 DNA  (0) 2013.01.18
별마로천문대와 쇄빙선  (0) 2012.12.17
류시화님의 '별에 못을 박다' 중에서  (2) 2011.09.28
Posted by TOTM
,

 

5D mark Ⅲ, EF 17-40mm F4L USM, handheld 촬영

 

 

 

위 사진은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하루 앞둔 8월 11일, 처가 옥상에서 촬영하였다. 돗자리에 누워 두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고 손각대 촬영한 것치고는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용자리, 작은곰자리가 점상으로 잘 나왔다.

팔베개를 한 딸과 함께 삼십 분 남짓한 시간 동안 여섯 개의 별똥별을 보았다. 그중 두 개는 시야의 반 이상을 가로지르는 엄청난 길이와 밝기를 보여 주었다. 그 대단한 유성들은 ZHR : 100으로 예고된 보기 드문 장관의 전조였을 것이다. 하지만, 사진기를 내려놓으면 떨어지는 별똥별... 센서를 달았나?

사진 속의 하늘은 무척 맑아 보이지만, 곳곳에 비가 내리고 구름이 많은 날이었다. 결국 일요일에 있었던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볼 수 없었다. 그래도 필자와 딸의 마음 속엔 ZHR : ∞의 유성우가 남았다.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맞이꽃의 개화  (0) 2015.07.24
나의 빈 자리  (2) 2014.10.26
  (0) 2012.01.10
나무는 별을 향해 자란다  (2) 2011.09.01
안녕, 경춘선  (0) 2011.08.01
Posted by TOTM
,


 

5D Mark Ⅱ, EF 24mm F1.4L Ⅱ USM

 

.
.
.
별들은 못을 박았던 흔적
.
.
.
누군가의 아픔을 걸었던 못구멍
.
.
.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선형 우주 DNA  (0) 2013.01.18
별마로천문대와 쇄빙선  (0) 2012.12.17
별과 안개에 덮힌 춘천  (0) 2011.09.25
삼각형과 육각형  (0) 2011.09.25
카시오페이아를 잡다  (0) 2011.09.25
Posted by TOTM
,

실감하기 어려운 시공을 지나 지구에 도달한 별빛의 색을 보면 그 별의 온도를 가늠할 수 있고, 나아가 질량, 나이와 남은 수명까지 추정할 수 있다. 의사가 환자의 안색을 보고 병인을 찾아낼 수 있는 것에 비유할 수 있겠다. 
별빛이 가진 다양한 색이 잘 나타난 사진을 아래에 실었다. '작품'이라 말하지 않은 까닭은 드러나게 부족한 점 한 가지가 마음에 걸리기 때문이다. 일주사진은 두 가지 주제가 담겼을 때, 즉, 제1주제인 별과 제2주제인 지상 풍경이 서로 조화로울 때 힘이 있으면서도 아름다운 사진이 된다. 의도에 따라 별이 두 번째 주제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아래의 사진에서는 지상 풍경이 실루엣으로만 존재할 뿐 숲이 가진 입체감이 어둠 속에 묻혀 평면적인 느낌을 주게 되었다.[각주:1] 노출을 오래 주어도 그믐 무렵의 광해가 적은 곳에서는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있으니 구상과 예상을 잘 해야 만족스런 작품을 쥘 수 있게 된다.
한 가지 다행스러운 점은 백조자리가 내려오고 있는 지점에 군부대에서 흘러나온 불빛이 자리함으로써 상서로운 알이 담긴 둥지와도 같은 느낌을 주고 있고 이로 인해 미약하나마 제2주제에 힘이 실렸다는 점이다.           
 


 


펜탁스67, SMC 45mm f4,  EPSON 4990 자가 스캔



  1. 게시한 사진은 스캔 실수로, 상단부가 잘리고(전체의 1/8 정도) 하단부에는 그만큼의 암부가 추가된 모습을 하고 있다. [본문으로]

'Starry Night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과 안개에 덮힌 춘천  (0) 2011.09.25
삼각형과 육각형  (0) 2011.09.25
카시오페이아를 잡다  (0) 2011.09.25
별마로천문대에서의 600초  (2) 2010.11.28
별을 향해 오르다  (4) 2010.02.18
Posted by TOTM
,